방과후 학교 배경
방과 후 교육은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 복지 차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그 배경도 기본적으로는 사회복지 차원에 있다.
첫째, 여성의 사회 참여 및 경제 활동이 늘어나면서 맞벌이 부부가 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으로 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 나라도 시간이 갈수록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정의 경우 자녀 양육을 대신해 줄 사람이 필요한데, 핵가족화로 인해 조부모 등과 같은 대리 양육자가 점차 줄게 되자 방과 후 나 홀로 지내는 학생들이 늘어나 보육 시설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본교에서도 저학년 방과 후 보육 시설의 하나로 종일제 학급을 운영할 필요가 발생한 것이다.
둘째, 저소득층 자녀의 보육을 정부가 대신해 줌으로서 저소득층 가정의 부부가 맞벌이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고 동시에 질 높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지를 넓히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의 자녀 보육에 소요되는 경비를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를 열게 되었다. 특히 본교는 가정 형편상 맞벌이를 하는 가정이 전교생의 50%를 차지하는 만큼 방과 후 보육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참여나 경제 활동 기회 제공 이외에 저소득층 가정 자녀에 대한 질 높은 교육 지원이라는 측면이 더 추가된 것이라면 본교는 더욱 방과 후 보육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하다.
셋째,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경감하기 위하여 학원과 같은 사교육 기관에 버금가는 특별활동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해진 것이다. 따라서 본교에서는 유휴 교실을 이용하여 방과 후 보육에 알맞도록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교재·교구를 마련하여 방과 후 교실 여건을 조성하고자 한다. 또한 방과 후 시간 동안 학교에 머무를 수 있도록 방과 후 전담 교사, 보육 교사, 학부모 도우미, 외래 강사 등 다양한 인력을 투입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발·적용함으로서 학생들의 학습 지도와 생활 지도에 효율성을 기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부모의 방과 후 아동 보육과 사교육비에 대한 심적 부담을 경감시켜 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방과후 학교 목적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외 활동을 학교 안으로 끌어 들여 학부모로부터 신뢰받는 교육풍토를 조성하고 전인교육의 차원에서 공급자 중심의 교육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하면서,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기회를 확대하고 나아가 학습자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방과후 학교 교육활동을 추진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학생의 소질 · 적성 계발 및 취미·특기 신장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2) 방과후 학교와 연계한 동아리 중심의 학생문화를 창달한다.
3) 학교의 시설 및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을 극대화한다.
4) 방과 후 과외활동의 교내 흡수를 통한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을 돕는다.
5) 맞벌이 가정 등 교육적 보살핌이 필요한 학생들이 안전하고 교육적인 방과후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